(懶翁禪師)
나옹 혜근 懶翁 慧勤(1320-1376)
나옹 혜근은 서천 지공指空스님과 절강 평산平山스님에게서 법을 이어받아 승풍僧風을 크게 떨쳤던 고려말의고승이다. 스님은 중국으로부터 보우普愚와 함께 새로운 임제臨濟의 선풍을 도입하여 한국불교의 초석을
세운 장본인으로 유학하는 20여년 동안 강남지방의 간화선看話禪을 깊이 공부하고 귀국하여 간화선을 널리
선양하면서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였다.
스님의 성은 아씨牙氏, 속명은 원혜元惠, 법호는 나옹懶翁이며 당호堂號는 강월헌江月軒, 시호는
선각禪覺이라고 하며, 1320년 1월 15일 지금의 경북 영덕군 창수면에서 선관서영善官署令 서구瑞具의
아들로 태어났다.
21세 때 친구의 죽음을 계기로 공덕산 묘적암妙寂庵에 있는 요연선사了然禪師를 찾아가 출가한 뒤 전국의
이름있는 사찰을 편력하면서 밤낮으로 정진하여 1344년(충혜왕5) 양주 천보산 회암사檜岩寺에서 크게
깨달았다.
1347년 (충목왕3) 원나라로 건너가서 연경 법원사에서 인도승 지공화상指空和尙을 친견하고 정진하여
그의 법을 전수받은 후 1358년(공민왕7)에 귀국하였다. 귀국 후 오대산 상두암象頭庵에 은신, 이후
신광사에서 후학들을 지도하면서 홍건적의 침입을 법력으로 막아 신광사를 수호하기도 하였다.
용문산, 원적산, 금강산 등지에서 수도 정진한 후 회암사의 주지가 되어 사찰 중창에 전력하였으며
1371년 공민왕으로부터 금란가사의 내외법복, 바리를 하사받고 왕사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근수본지중흥조풍복국우세보제존자王師大曹溪宗師禪敎都總攝勤修本智重興祖風福國祐世普濟尊者에 봉해졌다.
공민왕이 죽고 우왕이 즉위하자 다시 왕사王師로 추대되었으나 회암사를 낙성한 직후에 낙성식날 많은 사람들이 모인 것을 가지고 유학자들이 탄핵함에 따라 밀양 영원사瑩源寺로 옮기던 중 1376년 5월 15일 신륵사에서 갑자기 입적하니 나이 57세 법랍 38세였다.
제자로는 자초自超, 지천智泉 등 2,000여명이 있으며,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과 <가송歌頌>으로
스님의 사상이 전해지고 있다.
신륵사와 관련된 나옹의 행적을 살펴볼 수 있는 기록은 <보제사리석종기>와 김수온의 <보은사기報恩寺記>이다. 이 기록에 따르면 신륵사는 나옹이 도를 펼쳤던 곳으로 목은이색과 함께 이곳에 머물며 교유하므로 인해 신륵사가 경기도의 유명사찰이 되었다 한다.
[신륵사 홈페이지에서 발췌]
靑山兮要我 - 청산은 나를 보고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怒而無惜兮
성냄도 벗어놓고 탐욕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兮 어조사 혜
垢 티 구
聊 애오라지 료-- 아주 넘쳐 남지도 않고,
그렇다고 너무 부족하지도 않은 그야말로 '적당한' 정도를 나타내는 낱말.
惜 아낄 석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놈이 찍은 Cebu풍경(2) (0) | 2008.09.06 |
---|---|
아들놈이 찍은 Cebu풍경(1) (0) | 2008.09.06 |
이영철 촬영감독 (0) | 2008.08.25 |
용인대학교가 배출한 메달리스트 (0) | 2008.08.18 |
인천 먹자골목* 밴댕이식당가 (0) | 2008.08.16 |